대량 생산 유통되는 세제나 표백제가 피부를 자극하지 않는 이유가
천연 원료를 사용했기 때문이라는 주장은 얼핏 그럴 듯합니다.
하지만 조금만 생각해보시면
천연성과 피부 자극성은 서로 전혀 상관없는 개념이라는 것을
쉽게 이해하실 수 있습니다.
매우 쉬운 예로,
옻나무는 명백한 천연 성분이지만
체질에 따라서 피부를 심하게 자극합니다.
자외선은 극단적인 천연이지만
과도하게 노출되면 피부암을 일으킵니다.
마지막으로
천연 원로를 사용했다고 해도 엉망진창으로 만들면
피부를 자극하는 물질이 생성될 수 밖에 없습니다.
위와 같은 이유로
최소한 천연 원료라서 피부에도 순하다는 주장은
더 세심하게 검토하셔야 합니다.
원료가 천연인 것은 아무런 의미가 없고
완성된 제품이 적법한 피부 저자극성 테스트를 통과해서
증명해야 하는 문제이기 때문입니다.
심지어는
세제라면 세정력이라는 본질적 특성 때문에
피부를 자극할 수 밖에 없다는 점도 기억하셔야 합니다.
그래서
세제 잔여물의 자극성을 줄이려고 고민하는 것보다는
충분히 헹궈서 세제 잔여물이 남지 않도록
세심하게 세탁하시는 것이 더 현실적입니다.
일반 소비자가 부주의해서 세제 잔여물이 남는 경우에도
인체를 자극하면 안된다고 기대하시는 심정은 충분히 공감하지만
섬유 오염물보다 수용성이 높은 세제조차
잘 헹궈지지 않은 불완전하거나 비위생적인 세탁 방법은
역설적으로 세제 잔여물만의 문제가 아니기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