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78 추천 수 0 댓글 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Extra Form
신청자_전화번호 개인 정보 보호를 위해 숨김
인증코드 개인 정보 보호를 위해 숨김
무료체험신청 개인 정보 보호를 위해 숨김
휴대폰인증서비스동의 개인 정보 보호를 위해 숨김
개인정보수집이용동의 개인 정보 보호를 위해 숨김
개인정보제3자제공동의(필수) 개인 정보 보호를 위해 숨김
배송주소 개인 정보 보호를 위해 숨김

계량컵을 사용하지도 않을뿐더러 있어도 귀찮아서 그때그때 편한대로 눈대중으로 사용하는데

큰문제는 없겠죠?

  • ?
    유한크로락스 2019.06.23 08:04

    박하사탕님 안녕하세요.
    삶아 빤 듯 선명한 우리 집 빨래 솔루션! - 유한젠을 찾아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유한젠 무료체험에도 참여해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애초에 정량이라는 개념도 사실은 매우 모호할 수 밖에 없습니다.

    그래서 과량 투입이 문제가 있다 없다라는 답변보다는

    빨래 관련 생활 화학제품이 과다 투입되었을 때 문제를 안내해드리겠습니다.

     

    저희의 안내를 검토하시고 현장의 상황에 맞게 판단해 주시길 부탁드립니다.

     

    1. 일반 세탁 세제가 과량 투입될 경우의 문제점

     

    기본적으로 계면활성제가 필요 이상으로 가정에서 배출되면 수질 오염이 증가합니다.

     

    수질 오염은 바로 직접 체감하기 어려운 문제이지만

    여름철에 세탁기로 빨래를 하고 실내 건조하면

    눈으로는 깨끗해 보여도 꿉꿉한 냄새가 느껴지는 경험을 하셨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현상의 원인 중 하나가 아래와 같습니다.

     

    1-1. 과다 투입된 계면활성제(세탁세제)가 잘 헹궈지지 않고 세탁조 내부 벽면에 쌓임

    1-2. 방치되는 동안 계면활성제 찌거기에 곰팡이 발생

    1-3. 다음 세탁 시 세탁수에 계면활성제 찌꺼기와 곰팡이가 섞임

    1-4. 빨래를 마친 후에도 섬유 표면에 계면활성제 찌꺼기와 곰팡이가 묻어 있음

    1-5. 빨래 건조 과정에서 계면활성제 찌꺼기와 곰팡이가 산화하면서 꿉꿉한 냄새를 발생시킴

    1-6. 이 과정의 악순환

     

    2. 일반 세탁 세제와 함께 사용해야 하는 산소계 표백제(유한젠)이 과다투입될 경우의 문제점

     

    분말형 산소계 표백제의 주성분인 과탄산소다는

    미세 산소 기포를 발생시키며 세탁수에 천천히 녹는데

    과다 투입되면 세탁 시간에 비해 녹을 수 있는 시간이 짧아서

    과탄산소다 덩어리가 빨래가 끝난 후에도 남아있을 수 있습니다.

     

    과탄산소다는 산소를 고체화시킨 분말이기 때문에

    미량이 피부에 직접 닿아도 자극을 일으킬 가능성은 낮지만

    화학 제품은 피부에 직접 안 닿는 것이 최선이라고 생각하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다른 질문이나 의견이 있으시면 언제든지 알려주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소비자 불만 처리 절차 안내 75 유한크로락스 2018.08.17 5058
372 화장실 청소에 사용해도 되겠지요?? 1 김민 2021.09.07 67
371 화장실 청소, 주방 청소, 빨래까지 베구산 3... 1 이수현 2020.12.08 32
370 화장실 청소랑 세탁조에만 과탄화수소를 썼... 1 오키 2021.07.01 21
369 화장실 청소시 희석비율이? 1 용용이 2020.09.02 49
368 화장실은 타일이 있어서 뭘로 씻는게 좋나요... 1 박소연 2021.01.14 20
367 화장실청소 락스사용하는데 폐에 안좋다고 ... 1 서주아 2021.04.14 83
366 화장실청소에도 좋다고하니 꼭 써보고싶어요 3 이미경 2020.11.27 45
365 화장품 지우는 방법 알고싶어요 1 김도연 2020.08.10 10
364 화장품및 피 묻은 도복에도 손상없이 사용가능한가요? 1 0300 2020.01.02 199
363 화초 같은 식물에 끼치는 영향이 궁금하네요. 3 최혜란 2021.02.26 24
362 화학결합물이지만 피부에 자극 없고 빠르게 ... 1 셩이 2020.11.26 5
361 화학과 출신으로 산과 염기를 섞어 중화반응... 1 수리아 2021.03.11 118
360 화학성분에 조심스러워서 세제를 정량 넣고 ... 1 멋진주부 2021.09.03 40
359 화학성분이 아니라는건가요? 제가 이해를 ... 1 오혜진 2021.03.03 7
358 화학성분이지만 과탄산같은 효과가 나고 빨... 1 전형기 2021.03.14 6
357 화학성분인 과탄산소다를 과량 사용할 경우 ... 1 장미 2021.01.05 13
356 화학세제에 길들여있다보니, 천연세제는 잘 ... 1 김송자 2021.01.05 8
355 화학에 대해 공부한 일이 고1 이후로 한번도... 1 켄군 2020.11.17 24
354 화학재료가 피부에 부작용은 없는지 궁금합... 3 송줄리 2021.07.08 50
353 화학적 원리와 정확한 용량이 궁금 1 신경아 2021.04.07 8
Board Pagination Prev 1 ... 747 748 749 750 751 752 753 754 755 756 ... 770 Next
/ 770